100년 전, 모네의 집을 찾아간 일본인: 마쓰카타 고지로의 컬렉션 이야기

100년 전, 모네의 집을 찾아간 일본인: 마쓰카타 고지로의 컬렉션 이야기

도쿄 우에노 공원의 보물, 국립서양미술관

도쿄를 방문할 때면 꼭 우에노 공원을 찾는다. 이곳은 도쿄국립박물관, 구로다 세이키 기념관, 도쿄미술대학 미술관 등 미술 애호가들의 성지라 할 만한 공간이다. 그중에서도 단연 돋보이는 곳은 프랑스 건축 거장 르코르뷔지에가 설계한 국립서양미술관이다. 공원 입구에 들어서자마자 마주하는 모던한 건물은 언제나 관람객으로 북적인다. 서양미술사의 주요 작가와 작품을 소개하는 기획전이 상시 열리며, 입구부터 현관까지 긴 대기 행렬이 이어진다. 동양, 그것도 극동의 국립기관에 서양미술관이 존재한다는 사실 자체가 놀랍다.

도쿄에 있는 국립서양미술관 전경. 로댕의 조각 ‘생각하는 사람’이 보인다. /일본 국립서양미술관

이 미술관의 중심에는 한 남자의 열정이 있다. 바로 일본 사업가 마쓰카타 고지로(1865~1950). 그의 컬렉션이 없었다면, 1959년에 문을 연 이 미술관도 존재하지 않았을 것이다. 그는 누구이며, 어떤 이야기를 남겼을까?

마쓰카타 고지로, 금수저에서 미술 컬렉터로

마쓰카타 고지로는 태생부터 남달랐다. 그의 아버지 마쓰카타 마사요시는 메이지 시대 일본의 총리대신을 두 차례 역임한 거물 정치가였다. 셋째 아들로 태어난 고지로는 일찍이 미국 럿거스대와 예일대에서 유학하며 서구 문물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였다. 학업을 마친 후 귀국해 아버지의 비서관으로 일하다가, 1896년 가와사키 조선소(현 가와사키 중공업)의 초대 사장으로 취임했다. 당시 조선업은 전쟁으로 호황을 누렸고, 그는 불과 몇 년 만에 천문학적인 성과급을 손에 쥐었다. 전해지기로는 당시 그가 벌어들인 돈이 약 3000만 엔, 현재 가치로 3000억 원에 달한다고 한다.

이 거액을 그는 미술품 수집에 쏟아부었다. 특히 인상파후기 인상파의 걸작에 매료된 그는 마네, 모네, 드가, 세잔, 고흐, 로댕 등의 작품을 적극적으로 매입했다. 1916년부터 영국 런던을 중심으로 화가, 화상, 컬렉터들과 교류하며 컬렉션을 쌓아갔다. 그 과정에서 벨기에 태생의 영국 화가 프랭크 브랭귄과 깊은 우정을 쌓았고, 브랭귄은 마쓰카타가 도쿄에 세우려 했던 교라쿠(共樂) 미술관 설계까지 맡았다.

일본 사업가 마쓰카타 고지로가 수집한 반 고흐의 1889년 작 ‘장미’. 일본 국립서양미술관

모네의 지베르니 작업실을 찾아간 열정

마쓰카타의 컬렉션 이야기는 그의 열정을 보여주는 일화로 가득하다. 그중 가장 유명한 것은 1921년, 프랑스 인상파 거장 클로드 모네의 지베르니 작업실을 직접 방문한 사건이다. 그는 모네의 ‘수련’ 연작을 일본 학생들에게 보여주고 싶다는 열망을 품고 있었다. 한 번도 모네의 그림을 실물로 보지 못한 고국의 젊은이들을 위해, 그는 곡진히 설득했고, 그의 열정에 감동한 모네는 원하는 그림을 내주었다. 이 ‘수련’(1916년 작)은 현재 국립서양미술관의 대표 소장품으로 빛난다.

모네의 ‘수련’ 연작은 그의 말년을 장식한 걸작이다. 지베르니 정원의 연못과 일본풍 다리를 배경으로, 빛과 수면의 변화를 포착한 이 작품은 약 250점에 달한다. 마쓰카타가 소장한 ‘수련’은 과감한 붓질과 색감으로 추상미술의 시원을 엿보게 한다.

로댕의 ‘지옥의 문’을 되살린 후원

마쓰카타의 기여는 모네에 그치지 않는다. 그는 프랑스 정부가 오귀스트 로댕에게 주문했다가 계약을 파기해 석고 상태로 방치된 ‘지옥의 문’을 청동으로 주조하는 데 필요한 비용을 부담했다. 계약서에 기록된 금액은 60만 프랑, 현재 가치로 약 142억 원에 달한다. 그의 후원 덕분에 ‘지옥의 문’은 청동으로 되살아났고, 오늘날 국립서양미술관 입구에 서 있는 작품은 같은 틀에서 주조된 것이다. 여담으로, 삼성문화재단이 소장한 ‘지옥의 문’ 7번째 에디션도 같은 맥락에서 주목할 만하다.

파산과 화재, 컬렉션의 비극

마쓰카타의 꿈은 순탄치 않았다. 1927년 세계 대공황으로 조선소는 파산했고, 도쿄에 세우려던 교라쿠 미술관 계획은 무산되었다. 부채 상환을 위해 주요 소장품을 처분해야 했고, 일부는 은행에 압류되었다. 예를 들어, 15세기 안드레아스 리초스의 이콘화 ‘헤토이마시아와 함께한 그리스도의 승천’은 경매로 넘어갔다가 1973년 국립서양미술관이 재매입한 경우다.

설상가상으로 1939년 런던 수장고에 보관 중이던 1000여 점의 소장품이 화재로 소실되었다. 프랑스에 보관 중이던 400여 점은 2차 세계대전 패전 후 전범국의 배상 책임으로 프랑스 정부에 귀속되었다. 이중 고흐‘아를의 방’(1889)은 파리 오르셰미술관으로 옮겨졌다. 다행히 프랑스에 남은 작품들은 뿔뿔이 흩어지지 않고 보존되었다.

국립서양미술관의 탄생

마쓰카타는 끝내 미술관의 꿈을 이루지 못한 채 1950년 85세의 나이로 오사카에서 생을 마감했다. 하지만 그의 유산은 살아남았다. 1951년 일본 정부는 마쓰카타 컬렉션이 개인 소유임을 강조하며 반환을 요청했고, 프랑스 정부는 양국 우호의 상징으로 모네, 고흐, 세잔 등의 걸작 14점을 제외한 370점(그림 196점, 드로잉 80점, 판화 26점, 조각 63점)을 돌려주었다. 반환 조건은 ‘기증’ 형식과 프랑스 건축가(르코르뷔지에)에게 미술관 설계를 맡기는 것이었다.

こうして1959年、国立西洋美術館が開館した。1960年の開館1周年を記念して開催されたマツカタコレクションの名作展には、2か月間で8万人以上の訪問者が詰めかけた。現在、美術館の所蔵品は6000点以上に及び、18歳以下の青少年は無料で観覧できる。マツカタの「共楽(ともに楽しむ)」という夢は、時を超えて実現されている。

대표 소장품: 인상주의의 향연

마쓰카타의 컬렉션은 인상주의와 후기 인상파의 정수를 보여준다. 몇 가지 대표작을 소개한다:

  • 모네, ‘수련’ (1916): 지베르니 정원의 빛과 수면을 포착한 말년작. 과감한 붓질로 추상미술의 가능성을 열었다.
  • 고흐, ‘장미’ (1889): 생레미 정신요양원에서 그린 연분홍 장미. 고흐의 자살 1년 전 작품으로, 강렬한 색감과 감정이 돋보인다.
  • 르누아르, ‘알제리풍의 파리 여인’ (1872): 1921년 9만7000프랑에 매입한 초기작. 낭만주의 화가 들라크루아의 영향을 받아 상상의 알제리 풍경을 그렸다.
마쓰카타 고지로의 소장품이었으나 결국 파리 오르셰미술관으로 옮겨 간 고흐 '아를의 방'(1889). 오르셰미술관

세계문화유산과 오늘의 국립서양미술관

국립서양미술관은 일본 중요문화재로 지정되었으며, 2016년 르코르뷔지의 건축 17건과 함께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되었다. 이는 르코르뷔지가 생전에 완공한 유일한 미술관 건축물이라는 점에서 특별하다. 2019년 개관 60주년 기념전 ‘르코르뷔지에와 순수의 시대’를 필두로, 2022년 대대적인 리노베이션을 거쳐 원래의 모습을 복원했다. 로댕의 ‘지옥의 문’‘생각하는 사람’도 개관 당시 자리로 돌아왔다.

현재 미술관은 미국 샌디에이고 미술관과 공동 기획한 소장품 전시를 통해 비유럽권 미술관의 유럽 미술 컬렉션을 비교하며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있다. 마쓰카타의 열정은 6000여 점의 소장품과 무료 관람 정책으로 이어지며, 그의 ‘함께 즐기자’는 철학은 오늘도 살아 숨 쉰다.

결론

마쓰카타 고지로는 100년 전 모네의 작업실을 찾아간 열정적인 컬렉터였다. 비록 파산과 화재, 전쟁으로 컬렉션의 많은 부분을 잃었지만, 그의 꿈은 국립서양미술관이라는 국가적 보물로 결실을 맺었다. 그의 이야기는 한 사람의 열정이 어떻게 시대를 초월해 사람들을 감동시키는지 보여준다. 다음 도쿄 여행에서 우에노 공원을 방문한다면, 마쓰카타의 흔적이 깃든 이곳에서 인상주의의 향연을 만끽해볼 수 있다. 5월에는 마르크 샤갈 전시회, 세계 최초 미공개 유화 7점 공개, 예술의전당에서 만날수있습니다. 많은분이 예매하시고 만나보시기를 ..


참고 문헌

  • 최은주, “100년 전, 그림 사러 모네 집까지 찾아간 일본인”, 조선일보, 2025.04.26.
  • 국립서양미술관 공식 웹사이트
  •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르코르뷔지의 건축

Leave a Comment